일상돌봄서비스란?
돌봄이 필요한 중장년과 청년(질병, 부상, 고립 등), 가족돌봄청년 등 일상생활에 도움이 필요한 대상에게 재가 돌봄·가사, 병원 동행, 심리지원 등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여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서비스
사업지침 제공기관찾기
기본서비스
특화 서비스
*특화 서비스는 지역에 따라 달리 제공
구분 | 돌봄 필요 청·중장년 | 가족돌봄청(소)년 |
---|---|---|
소득기준 | 소득기준 없음 (단, 중위소득 구간별 본인부담률 차등 부담) | |
연령기준(출생년도 기준) | 만19세~64세 | 만9세~39세 |
가구기준 | 없 음 | 돌봄 대상 가족과 동거 (주민등록상 기본, 실질적 동거 포함) |
욕구기준 | 아래 ➊, ➋를 모두 갖춘 경우 | 아래 ➊, ➌을 모두 갖춘 경우 |
➊ 돌봄 필요성 - 질병, 부상, 고립 등으로 독립적 일상생활이 불가능하거나 곤란한 경우로, 신체적, 정신적, 사회적 자립이 어려운 경우(고립은둔 포함) - 자립준비청년 또는 보호연장아동인 경우 |
➊ 돌봄 대상 가족의 돌봄 필요성 - 질병, 부상, 고립 등으로 독립적 일상생활이 불가능하거나 곤란한 경우로, 신체적, 정신적, 사회적 자립이 어려운 경우 |
|
➋ 돌봄자 부재 (1)~2)중 1개 충족시 가능) 1) 주 돌봄을 수행할 가족, 친지 등이 없거나 함께 거주하지 않는 경우 2) 동거가족이 있더라도 경제활동 등으로 돌봄을 제공하기 어려운 경우 |
➌ 가족돌봄청(소)년 증빙 (1)~2)중 1개 충족시 가능)
1) 동거 가족을 직접 돌보고 있는 경우 2) 돌봄 대상 가족의 병원비, 간병비, 요양비, 생활비 등 마련을 위해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 |
|
국적 기준 |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자 |
구분 | 기본 서비스(재가돌봄·가사) | 특화 서비스 | |
---|---|---|---|
돌봄+가사 | A형 (기본돌봄형) | 월 36시간 | 1개 이용 |
C형 (추가돌봄형) | 월 72시간 | - | |
가사만 | B형 (가사형) | 월 24시간 | 2개 이용 |
특화만 | D형 (특화형) | - | 2개 이용 |
구분 | 기본 서비스(재가돌봄·가사) | 서비스 제공시간 및 주기(표준) | |
---|---|---|---|
돌봄+가사 | A형 (기본돌봄형) | 월 36시간 | 3시간 / 주3회 (월 12회) |
C형 (추가돌봄형) | 월 72시간 | 3시간 / 주6회 (월 24회) | |
가사만 | B형 (가사형) | 월 24시간 | 3시간 / 주2회 (월 8회) |
서비스명 | 서비스 내용 | 단가(월) | 제공횟수(월) | |
---|---|---|---|---|
◈ 돌봄필요 청·중장년, 가족돌봄청(소)년 대상 특화서비스 | ||||
식사·영양관리 | 식사관리 | 질환 등으로 스스로 식사준비가 어려운 대상에게 식사 지원 | 22.8만원 | 8회 |
영양관리 | 질환 등으로 스스로 식사준비가 어려운 대상에게 식사 지원 및 영양관리 | 26만원 | 8회 | |
병원 동행 서비스 | 거동이 불편한 이용자에게 이동 및 동행 보조, 병원 접수·수납 등 지원 | 27.2만원 (시간당 1.7만원) | 최대 16시간 | |
심리 지원 서비스 | 전문가에 의한 맞춤형 심리지원 실시 | 24만원 | 4회 | |
소셜 다이닝 서비스 | 생활에 필요한 요리를 배우고 함께 식사하는 기회를 통해 교류 및 사회참여 증진 | 12.3만원 | 4회 (회당 120분) | |
◈ 돌봄필요 중장년 대상 특화서비스 | ||||
교류증진 지원 서비스 | 지역주민과의 일상적 소통 및 교류 증진 | 20만원 | 4회 (회당 100분) | |
◈ 돌봄필요 청(소)년과 가족돌봄청(소)년 대상 특화서비스 | ||||
독립생활 지원 서비스 | 청년 자립기반 조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 | 12만원 | 3회 (회당 60분) |
구분 | 이용시간 | 이용금액 |
---|---|---|
재가돌봄·가사 | 36시간 이용시 (A형) | 월 660,000원 |
72시간 이용시 (C형) | 월 1,320,000원 | |
가사만 | 24시간 이용시 (B형) | 월 432,000원 |
일상돌봄 서비스의 본인부담 비율
기준 중위소득 | 기본 서비스 | 특화 서비스 |
---|---|---|
기초수급자, 차상위 | 면 제 | 5% |
120% 이하 | 10% | 15% |
120%초과~160%이하 | 25% | 30% |
160% 초과 | 100% | 100% |
구군 | 연락처 | 구군 | 연락처 |
---|---|---|---|
중구 | 051-600-4341 | 해운대구 | 051-749-4315 |
서구 | 051-240-4314 | 사하구 | 051-220-5682 |
동구 | 051-440-4317 | 금정구 | 051-519-4781 |
영도구 | 051-419-6206 | 강서구 | 051-970-4317 |
부산진구 | 051-605-4354 | 연제구 | 051-665-4664 |
동래구 | 051-550-4315 | 수영구 | 051-610-4315 |
남구 | 051-607-4314 | 사상구 | 051-310-4318 |
북구 | 051-309-4316 | 기장군 | 051-709-4315 |